티스토리 뷰

주민등록등본 발급 안내 썸네일

이제는 주민등록등본을 떼기 위해 주민센터에 가지 않아도 됩니다. 2025년 현재, 인터넷으로 3분 만에 주민등록등본을 무료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등본 발급 가능한 정부 24 이용법부터 출력, PDF 저장, 수수료 정보까지 순서대로 정리해 드립니다.

 

1. 등본 인터넷 발급 가능 사이트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공서비스는 정부 24(www.gov.kr)입니다. 365일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프린터만 있다면 바로 출력도 가능해요.

  • 정부 24: www.gov.kr
  • ✔ 무인민원발급기(오프라인 가능)

📌 단,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카카오, PASS 등)이 있어야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2. 발급 순서 (인터넷 3분 컷)

다음은 실제 발급 절차입니다:

  1. 정부 24 접속 → [민원서비스] 클릭
  2. [주민등록등본] 검색 후 '신청하기'
  3. 공동/간편 인증으로 로그인
  4. 열람 또는 발급 선택 → 가족사항 포함 여부 지정
  5. 출력 또는 PDF 저장

발급은 무료이며, 프린터가 없는 경우 PDF로 저장 후 출력하면 됩니다.

정부24 홈페이지 메인 화면

3. 출력 시 유의사항

✔ 프린터는 가정용 잉크젯/레이저프린터 모두 가능
✔ 컬러/흑백 관계없음
✔ 출력물 하단에 QR코드 + 발급 확인번호 포함되어야 유효
✔ PDF 저장 시 공공기관 제출용으로 지정해야 효력 인정

4. 무인민원발급기 vs 정부24 차이

항목 정부24 무인발급기
이용시간 24시간 06:00~23:00 (장소별 상이)
발급 수수료 무료 400~600원
인증방식 공동/간편 인증 지문 인증
출력 프린터 필요 현장 출력

📌 인터넷 발급은 수수료 절감 + 장소 제약 없음 = 가장 효율적인 방법!

5. Q&A – 자주 묻는 질문

Q1. 가족 등본도 인터넷 발급 가능한가요?
가능합니다. 가족관계증명 및 가족구성원 포함 항목 선택하면 함께 발급됩니다.

Q2. 모바일에서도 발급되나요?
정부24 앱 또는 PASS 앱 연동을 통해 가능하나, 출력은 PC에서 필요합니다.

Q3. 인터넷 출력본도 공공기관 제출 가능한가요?
네, QR코드 및 발급번호가 포함된 출력물은 법적 효력을 가집니다.